Posts by Tag

JPA

스프링부트 JPA Query Methods 활용

📌 용어 한눈에 JPA Query Methods: 메서드 이름으로 쿼리 자동 생성 Spring Data JPA: JPA 간소화 스프링 모듈 Hibernate: JPA 구현체, 매핑 처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Repository: 데이터...

스프링부트로 MySQL 연동과 CRUD 구현

📌 용어 한눈에 MySQL: 관계형 DB, 데이터 영구 저장 CRUD: 생성, 조회, 수정, 삭제 작업 JPA: 객체와 DB 매핑 API Hibernate: JPA 구현체, 매핑 처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JDBC: 자바와 DB 연...

JPA 기초와 엔티티 매핑 정리

📌 용어 한눈에 JPA: 자바 객체와 DB 매핑 표준 API 엔티티: DB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 ORM: 객체와 관계형 DB 연결 기술 Hibernate: JPA 구현 ORM 프레임워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객체 @Enti...

JPA에 대하여

JPA에 대하여 ORM이란 JPA란 동작 과정 사용 이유 지연 로딩 vs 즉시 로딩

맨 위로 이동 ↑

Spring Security

맨 위로 이동 ↑

SQL

맨 위로 이동 ↑

DBMS

맨 위로 이동 ↑

Git

Git Add, Commit, Push 취소

실수로 Git Add, Commit, Push한 내용 취소 git add 취소 git commit 취소 git push 취소 untracked 파일 삭제

GitHub로 협업하는 방법

GitHub로 협업할 때 알아둬야 할 것 저장소에 대한 개념 GitHub로 협업하는 방법과 이유

협업할 때 사용하는 Git Branch

협업할 때 사용하는 Git Branch의 종류 Gitflow Workflow에서 사용하는 Git Branch 종류를 이해한다. Gitflow Workflow에서 사용하는 Git Branch 사용법을 이해한다.

Github에 잘못 올라간 파일 삭제하기

GitHub에 잘못 올린 파일 삭제하기 GitHub pages를 만들 때 올릴 필요가 없는 파일을 remote origin에 push한 경우 remote origin에 잘못 올라간 파일을 삭제하고 .gitignore에 등록해 무시하고 다시 push한다

맨 위로 이동 ↑

Java

Web Servlet이란

Servlet이란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 HTML Form Servlet

맨 위로 이동 ↑

MySQL

스프링부트로 MySQL 연동과 CRUD 구현

📌 용어 한눈에 MySQL: 관계형 DB, 데이터 영구 저장 CRUD: 생성, 조회, 수정, 삭제 작업 JPA: 객체와 DB 매핑 API Hibernate: JPA 구현체, 매핑 처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JDBC: 자바와 DB 연...

맨 위로 이동 ↑

TDD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올바른 단위 테스트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테스트 패턴 테스트용 모의 객체 프레임워크

TDD(Test Driven Development)

TDD(Test Driven Development)란 무엇일까 TDD의 정의(Definition of Test Driven Development) TDD의 효과(The Effect of Test Driven Development) TDD의 장단점(Adv...

맨 위로 이동 ↑

REST API

gRPC에 대해

gRPC에 대해 RPC와 스텁(stub) gRPC gRPC와 RESTAPI 비교 장단점

맨 위로 이동 ↑

Spring Boot

맨 위로 이동 ↑

Blog

블로그 활용 방법

블로그(GitHub Pages) 활용 방법 GitHub pages를 꾸미고 각 요소를 설정하는 방법들 정리 포스팅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정리

맨 위로 이동 ↑

Jekyll

블로그 활용 방법

블로그(GitHub Pages) 활용 방법 GitHub pages를 꾸미고 각 요소를 설정하는 방법들 정리 포스팅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정리

맨 위로 이동 ↑

OOP

맨 위로 이동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맨 위로 이동 ↑

Process

프로세스 쓰레드 블로킹 논블로킹 파악하기

📌 용어 한눈에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OS가 메모리와 자원 할당 쓰레드: 프로세스 내 작업 단위, 자원 공유하며 병렬 처리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가 대기 상태로 멈...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

Process와 Thread 프로그램 프로세스 쓰레드 자바 쓰레드 멀티 쓰레드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쓰레드 차이 멀티 프로세스 대신 멀티 쓰레드를 사용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Thread

프로세스 쓰레드 블로킹 논블로킹 파악하기

📌 용어 한눈에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OS가 메모리와 자원 할당 쓰레드: 프로세스 내 작업 단위, 자원 공유하며 병렬 처리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가 대기 상태로 멈...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

Process와 Thread 프로그램 프로세스 쓰레드 자바 쓰레드 멀티 쓰레드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쓰레드 차이 멀티 프로세스 대신 멀티 쓰레드를 사용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Framework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IDE 차이점 정리

📌 용어 한눈에 라이브러리: 특정 기능을 모아둔 코드 뭉치, 내가 호출해서 쓰는 도구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전체 구조를 잡아주는 뼈대, 흐름을 주도 IDE: 코드 작성부터 디버깅, 배포까지 돕는 통합 개발 환경

Spring Framework란

Spring Framework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맨 위로 이동 ↑

Library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IDE 차이점 정리

📌 용어 한눈에 라이브러리: 특정 기능을 모아둔 코드 뭉치, 내가 호출해서 쓰는 도구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전체 구조를 잡아주는 뼈대, 흐름을 주도 IDE: 코드 작성부터 디버깅, 배포까지 돕는 통합 개발 환경

Spring Framework란

Spring Framework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맨 위로 이동 ↑

Hibernate

JPA 기초와 엔티티 매핑 정리

📌 용어 한눈에 JPA: 자바 객체와 DB 매핑 표준 API 엔티티: DB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 ORM: 객체와 관계형 DB 연결 기술 Hibernate: JPA 구현 ORM 프레임워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객체 @Enti...

맨 위로 이동 ↑

Transaction

스프링부트 개발 흔한 실수와 해결책

📌 용어 한눈에 DI: 의존성 주입, 객체 의존 관계 자동 관리 JPA: 객체와 DB 매핑 API Hibernate: JPA 구현체, 객체-테이블 매핑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Transaction: DB 작업 논리적 단위 Entity...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Pageable

JPA에서 Pageable에 대해

JPA에서 Pageable에 대해 페이징이란 Spring Data JPA에서의 페이징과 정렬 쿼리 메서드에서 페이징 사용하기 반환 타입에 따른 페이징 결과 Spring Web MVC에서 더 편하게 페이징하기

맨 위로 이동 ↑

JDK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Cannot find a Java installation” 🏗️ 초기 설정 서버: Amazon Linux 2023 on AWS EC2 목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배포 (Java 21 필요) 진행: dn...

어떤 JDK를 써야 할까

어떤 JDK를 써야 할까 JDK란 JDK 종류 SDKMan을 통한 JDK 목록/설치/관리 release 주기

맨 위로 이동 ↑

ORACLE

맨 위로 이동 ↑

Jenkins

맨 위로 이동 ↑

CICD

맨 위로 이동 ↑

Pipeline

맨 위로 이동 ↑

Bundler

Bundler 개념

Bundler 개념 번들러가 어떻게 만들어졌나 번들러의 역할 번들러의 장점

맨 위로 이동 ↑

Agile

애자일 방법론(Agile Methodology)

애자일 방법론(Agile Methodology)이 무엇일까 애자일 등장 배경(Appearance Background) 애자일 정의(Agile Definition) 애자일 핵심 가치(Agile Core Value) SW 개발의 불확실성과 사업적 가...

맨 위로 이동 ↑

Daily Scrum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이 무엇일까 데일리 스크럼 정의(Daily Scrum Definition) 데일리 스크럼 장점과 목적(Advantages and Objectives of Daily Scrum)

맨 위로 이동 ↑

캡슐화

맨 위로 이동 ↑

상속

맨 위로 이동 ↑

다형성

맨 위로 이동 ↑

SOLID

맨 위로 이동 ↑

오버로딩

맨 위로 이동 ↑

overloading

맨 위로 이동 ↑

오버라이딩

맨 위로 이동 ↑

overriding

맨 위로 이동 ↑

Comparable

맨 위로 이동 ↑

Comparator

맨 위로 이동 ↑

정렬

맨 위로 이동 ↑

인터페이스

맨 위로 이동 ↑

Overflow

맨 위로 이동 ↑

Underflow

맨 위로 이동 ↑

TCP

맨 위로 이동 ↑

3-way handshaking

맨 위로 이동 ↑

4-way handshaking

맨 위로 이동 ↑

SYN

맨 위로 이동 ↑

ACK

맨 위로 이동 ↑

FIN

맨 위로 이동 ↑

REST

맨 위로 이동 ↑

RESTful

맨 위로 이동 ↑

Spring

Spring Framework란

Spring Framework 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맨 위로 이동 ↑

Web Server

Web Server와 WAS

Web Server와 WAS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Web Server WAS 구분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WAS

Web Server와 WAS

Web Server와 WAS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Web Server WAS 구분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Static Pages

Web Server와 WAS

Web Server와 WAS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Web Server WAS 구분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Dynamic Pages

Web Server와 WAS

Web Server와 WAS Static Pages와 Dynamic Pages Web Server WAS 구분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Servlet

Web Servlet이란

Servlet이란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 HTML Form Servlet

맨 위로 이동 ↑

HTML Form

Web Servlet이란

Servlet이란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 HTML Form Servlet

맨 위로 이동 ↑

Thread Pool

Web Servlet이란

Servlet이란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 HTML Form Servlet

맨 위로 이동 ↑

Servlet life cycle

Web Servlet이란

Servlet이란 Web Service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 HTML Form Servlet

맨 위로 이동 ↑

DAO

DAO, DTO, VO의 차이

DAO, DTO, VO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VO(Value Object)

맨 위로 이동 ↑

DTO

DAO, DTO, VO의 차이

DAO, DTO, VO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VO(Value Object)

맨 위로 이동 ↑

VO

DAO, DTO, VO의 차이

DAO, DTO, VO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VO(Value Object)

맨 위로 이동 ↑

영속성

맨 위로 이동 ↑

Persistent

맨 위로 이동 ↑

JDBC

맨 위로 이동 ↑

Mybatis

맨 위로 이동 ↑

Request Parameter

맨 위로 이동 ↑

Data Binding

맨 위로 이동 ↑

Data Validation

맨 위로 이동 ↑

Template Engine

맨 위로 이동 ↑

JSP

맨 위로 이동 ↑

Thymleaf

맨 위로 이동 ↑

Vim

Vim에 대하여

Vim에 대하여 Vim이란 사용법 단축키 유용한 사이트

맨 위로 이동 ↑

ORM

JPA에 대하여

JPA에 대하여 ORM이란 JPA란 동작 과정 사용 이유 지연 로딩 vs 즉시 로딩

맨 위로 이동 ↑

지연 로딩

JPA에 대하여

JPA에 대하여 ORM이란 JPA란 동작 과정 사용 이유 지연 로딩 vs 즉시 로딩

맨 위로 이동 ↑

즉시 로딩

JPA에 대하여

JPA에 대하여 ORM이란 JPA란 동작 과정 사용 이유 지연 로딩 vs 즉시 로딩

맨 위로 이동 ↑

Persistent Context

맨 위로 이동 ↑

1차 캐시

맨 위로 이동 ↑

동일성 보장

맨 위로 이동 ↑

쓰기 지연

맨 위로 이동 ↑

JDBC Batch option

맨 위로 이동 ↑

Dirty Checking

맨 위로 이동 ↑

DynamicUpdate

맨 위로 이동 ↑

URL

맨 위로 이동 ↑

URI

맨 위로 이동 ↑

URN

맨 위로 이동 ↑

Filter

맨 위로 이동 ↑

Interceptor

맨 위로 이동 ↑

DelegatingFilterProxy

맨 위로 이동 ↑

SpringBoot

맨 위로 이동 ↑

DI

맨 위로 이동 ↑

ACID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Dirty Read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Non-Repeatable Read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Phantom Read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Propagation

Spring에서 Transaction에 대해

Transaction에 대하여 트랜잭션이란 보장해야 하는 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 Spring에서 트랜잭션 Spring에서 트랜잭션 사용

맨 위로 이동 ↑

ThreadLocal

맨 위로 이동 ↑

JUnit5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올바른 단위 테스트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테스트 패턴 테스트용 모의 객체 프레임워크

맨 위로 이동 ↑

AssertJ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올바른 단위 테스트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테스트 패턴 테스트용 모의 객체 프레임워크

맨 위로 이동 ↑

Mockito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올바른 단위 테스트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테스트 패턴 테스트용 모의 객체 프레임워크

맨 위로 이동 ↑

GWT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Spring 단위 테스트에 대하여 올바른 단위 테스트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테스트 패턴 테스트용 모의 객체 프레임워크

맨 위로 이동 ↑

Springboot

Spring Boot 리팩토링하기

Spring Boot 리팩토링하기 Raw 타입은 사용하지 말자 Restful API는 자원과 메소드로 표현하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는 DTO를 이용하자 final과 함께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라 Controller는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

맨 위로 이동 ↑

Refactoring

Spring Boot 리팩토링하기

Spring Boot 리팩토링하기 Raw 타입은 사용하지 말자 Restful API는 자원과 메소드로 표현하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는 DTO를 이용하자 final과 함께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라 Controller는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

맨 위로 이동 ↑

Log4j2

Log4j2 vs Slf4j

Log4j2 vs Slf4j Log4j2 SLF4j(Simple Logging Facade For Java) Log4j2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Slf4j

Log4j2 vs Slf4j

Log4j2 vs Slf4j Log4j2 SLF4j(Simple Logging Facade For Java) Log4j2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맨 위로 이동 ↑

Calender

맨 위로 이동 ↑

String

맨 위로 이동 ↑

StringBuffer

맨 위로 이동 ↑

StringBuilder

맨 위로 이동 ↑

Left-Pad

맨 위로 이동 ↑

Supply Chain Attack

맨 위로 이동 ↑

Typosquatting

맨 위로 이동 ↑

Escape Sequence

맨 위로 이동 ↑

String Constant Pool

맨 위로 이동 ↑

String literal

맨 위로 이동 ↑

intern메서드

맨 위로 이동 ↑

Throws

맨 위로 이동 ↑

Throw

맨 위로 이동 ↑

직렬화

맨 위로 이동 ↑

역직렬화

맨 위로 이동 ↑

JSON

맨 위로 이동 ↑

GSON

맨 위로 이동 ↑

IntelliJ

IntelliJ 단축키(Mac)

IntelliJ 단축키(Mac) 자주쓰는 단축키 메모 단축키 Visual Studio Code 기타 단축키

맨 위로 이동 ↑

Flush

맨 위로 이동 ↑

README

맨 위로 이동 ↑

jpg

맨 위로 이동 ↑

png

맨 위로 이동 ↑

gif

맨 위로 이동 ↑

Reflection

맨 위로 이동 ↑

CORS

CORS에 대하여

CORS에 대하여 정의 필요성 request와 response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Access-Control-Allow-Origin

맨 위로 이동 ↑

Personal access token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keychain access로 자격 증명 업데이트 명령줄을 통한 자격 증명 삭제 Git에서 GitHub 자격 증명 캐싱

맨 위로 이동 ↑

Credentials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keychain access로 자격 증명 업데이트 명령줄을 통한 자격 증명 삭제 Git에서 GitHub 자격 증명 캐싱

맨 위로 이동 ↑

Osxkeychain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GitHub credentials 업데이트(mac) keychain access로 자격 증명 업데이트 명령줄을 통한 자격 증명 삭제 Git에서 GitHub 자격 증명 캐싱

맨 위로 이동 ↑

Heap

Heap이라는 자료구조에 대해

Heap이라는 자료구조에 대해 heap 정의 힙을 배열로 구현 삽입과 삭제로 깨진 힙을 재구조화하기(heapify) 참고 출처

맨 위로 이동 ↑

gRPC

gRPC에 대해

gRPC에 대해 RPC와 스텁(stub) gRPC gRPC와 RESTAPI 비교 장단점

맨 위로 이동 ↑

SDKMan

어떤 JDK를 써야 할까

어떤 JDK를 써야 할까 JDK란 JDK 종류 SDKMan을 통한 JDK 목록/설치/관리 release 주기

맨 위로 이동 ↑

curl

curl에 대하여

curl에 대하여 curl이란 설치 및 주요 옵션 HTTP/HTTPS 다운로드(GET Method) POST/File 업로드(POST, PUT) PATCH, DELETE 메서드 HTTP 인증 Cookie HTTP He...

맨 위로 이동 ↑

Code Review

맨 위로 이동 ↑

Shared Lock

맨 위로 이동 ↑

Exclusive Lock

맨 위로 이동 ↑

다대다 관계

맨 위로 이동 ↑

연관 테이블

맨 위로 이동 ↑

리터럴

맨 위로 이동 ↑

생성자

맨 위로 이동 ↑

Dot notation

맨 위로 이동 ↑

Bracket notation

맨 위로 이동 ↑

issue

맨 위로 이동 ↑

labels

맨 위로 이동 ↑

계층형 패키지 구조

맨 위로 이동 ↑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

맨 위로 이동 ↑

PHP

맨 위로 이동 ↑

모던

맨 위로 이동 ↑

SVN

맨 위로 이동 ↑

GitHub

맨 위로 이동 ↑

버전 관리 시스템

맨 위로 이동 ↑

Gradle

맨 위로 이동 ↑

Custom Exception

맨 위로 이동 ↑

Error Handler

맨 위로 이동 ↑

Simple exception

맨 위로 이동 ↑

Complex exception

맨 위로 이동 ↑

Throw new exception

맨 위로 이동 ↑

PageRequest

맨 위로 이동 ↑

Offset

맨 위로 이동 ↑

Thymeleaf

맨 위로 이동 ↑

SSR

맨 위로 이동 ↑

Template

맨 위로 이동 ↑

QueryDSL

맨 위로 이동 ↑

MindSet

맨 위로 이동 ↑

Comment

맨 위로 이동 ↑

Reply

맨 위로 이동 ↑

Soft Delete

맨 위로 이동 ↑

Docker

Docker에 대하여

Docker에 대하여 Container기술 Docker 설치와 명령어 정리

맨 위로 이동 ↑

Container

Docker에 대하여

Docker에 대하여 Container기술 Docker 설치와 명령어 정리

맨 위로 이동 ↑

Image

Docker에 대하여

Docker에 대하여 Container기술 Docker 설치와 명령어 정리

맨 위로 이동 ↑

Registry

Docker에 대하여

Docker에 대하여 Container기술 Docker 설치와 명령어 정리

맨 위로 이동 ↑

kubernetes

쿠버네티스에 대하여

쿠버네티스에 대하여 쿠버네티스? minikube vs kubernetes ReplicationController vs ReplicaSet vs Deployment kubectl apply(declarative) vs kubectl create(i...

맨 위로 이동 ↑

POSIX regular expression

맨 위로 이동 ↑

Meta characters

맨 위로 이동 ↑

오라클 비율 함수

맨 위로 이동 ↑

오라클 퍼센트 함수

맨 위로 이동 ↑

commit

맨 위로 이동 ↑

branch

맨 위로 이동 ↑

merge

맨 위로 이동 ↑

rebase

맨 위로 이동 ↑

design stamina hypothesis

맨 위로 이동 ↑

architecture

맨 위로 이동 ↑

git

맨 위로 이동 ↑

stash

맨 위로 이동 ↑

version control

맨 위로 이동 ↑

message queue

맨 위로 이동 ↑

spring integration

맨 위로 이동 ↑

notification

맨 위로 이동 ↑

interface

맨 위로 이동 ↑

JRE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Cannot find a Java installation” 🏗️ 초기 설정 서버: Amazon Linux 2023 on AWS EC2 목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배포 (Java 21 필요) 진행: dn...

맨 위로 이동 ↑

AWS EC2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AWS EC2에서 스프링부트 실행 실패 문제: “Cannot find a Java installation” 🏗️ 초기 설정 서버: Amazon Linux 2023 on AWS EC2 목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배포 (Java 21 필요) 진행: dn...

맨 위로 이동 ↑

IDE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IDE 차이점 정리

📌 용어 한눈에 라이브러리: 특정 기능을 모아둔 코드 뭉치, 내가 호출해서 쓰는 도구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전체 구조를 잡아주는 뼈대, 흐름을 주도 IDE: 코드 작성부터 디버깅, 배포까지 돕는 통합 개발 환경

맨 위로 이동 ↑

Boilerplate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알아보기

📌 용어 한눈에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형식적인 코드, 핵심 로직과는 무관 추상화: 복잡한 코드를 단순화, 핵심만 남김 템플릿: 미리 정의된 코드 구조, 일관성 유지 어노테이션: 자바에서 메타데이터로 코드 간소화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뼈대,...

맨 위로 이동 ↑

Architecture

유지보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가치

📌 용어 한눈에 유지보수: 배포 후 문제 수정, 기능 개선 작업 사용자 경험(UX): 소프트웨어 사용 중 느끼는 편의성과 만족도 피드백: 사용자가 전하는 불편함이나 개선 요청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구조,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 체계 충성 고객: 꾸준히 서비스를...

맨 위로 이동 ↑

Maintenance

유지보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가치

📌 용어 한눈에 유지보수: 배포 후 문제 수정, 기능 개선 작업 사용자 경험(UX): 소프트웨어 사용 중 느끼는 편의성과 만족도 피드백: 사용자가 전하는 불편함이나 개선 요청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구조,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 체계 충성 고객: 꾸준히 서비스를...

맨 위로 이동 ↑

Client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분 짓기

📌 용어 한눈에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요청하는 쪽, 사용자나 사용자 프로그램 서버: 요청을 받아 응답을 제공하는 쪽,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나 작업 지시 응답: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돌려주는 결과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맨 위로 이동 ↑

Server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분 짓기

📌 용어 한눈에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요청하는 쪽, 사용자나 사용자 프로그램 서버: 요청을 받아 응답을 제공하는 쪽,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나 작업 지시 응답: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돌려주는 결과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맨 위로 이동 ↑

RESTful API

API와 RESTful API 파헤치기

📌 용어 한눈에 API: 프로그램 간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과 데이터 주고받기 REST: 웹 시스템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RESTful API: REST 원칙을 따라 설계된 API HTTP 메서드: 클라이언트-서버 간 요청 방식, GET, POST, ...

맨 위로 이동 ↑

Blocking

프로세스 쓰레드 블로킹 논블로킹 파악하기

📌 용어 한눈에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OS가 메모리와 자원 할당 쓰레드: 프로세스 내 작업 단위, 자원 공유하며 병렬 처리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가 대기 상태로 멈...

맨 위로 이동 ↑

Non Blocking

프로세스 쓰레드 블로킹 논블로킹 파악하기

📌 용어 한눈에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OS가 메모리와 자원 할당 쓰레드: 프로세스 내 작업 단위, 자원 공유하며 병렬 처리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가 대기 상태로 멈...

맨 위로 이동 ↑

RestTemplate

맨 위로 이동 ↑

WebClient

맨 위로 이동 ↑

HttpClient

맨 위로 이동 ↑

FeignClient

맨 위로 이동 ↑

Sync

동기와 비동기 구분 짓기

📌 용어 한눈에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 대기 상태로 멈춤 논블로킹: 쓰레드 계속 실행 가능 쓰레드: 프로그램 내 독립 실행 흐름 콜백: 작업 완료 후 호출되는 함수 F...

맨 위로 이동 ↑

Async

동기와 비동기 구분 짓기

📌 용어 한눈에 동기: 요청 후 결과 기다림, 순서대로 진행 비동기: 요청 후 기다리지 않음, 다른 작업 가능 블로킹: 쓰레드 대기 상태로 멈춤 논블로킹: 쓰레드 계속 실행 가능 쓰레드: 프로그램 내 독립 실행 흐름 콜백: 작업 완료 후 호출되는 함수 F...

맨 위로 이동 ↑

Singleton Bean

스프링부트 싱글톤 빈으로 리소스 절약하기

📌 용어 한눈에 싱글톤 빈: 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단일 인스턴스 리소스: 메모리, CPU 등 시스템 자원 상태 없는 빈: 내부 데이터 없음, 스레드 안전 상태 있는 빈: 내부 데이터 있음, 동시성 주의 프로토타입 스코프: 요청마다 새 인스...

맨 위로 이동 ↑

Resource

스프링부트 싱글톤 빈으로 리소스 절약하기

📌 용어 한눈에 싱글톤 빈: 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단일 인스턴스 리소스: 메모리, CPU 등 시스템 자원 상태 없는 빈: 내부 데이터 없음, 스레드 안전 상태 있는 빈: 내부 데이터 있음, 동시성 주의 프로토타입 스코프: 요청마다 새 인스...

맨 위로 이동 ↑

ApplicationContext

맨 위로 이동 ↑

SecurityContextHolder

맨 위로 이동 ↑

SecurityContext

맨 위로 이동 ↑

PersistenceContext

맨 위로 이동 ↑

SMTP

스프링부트로 이메일 발송 구현하기

📌 용어 한눈에 JavaMailSender: 스프링에서 이메일 전송 처리 인터페이스 SMTP: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Gmail, Naver 등 제공 application.yml: 스프링부트 설정 파일, SMTP 정보 관리 MimeMessage: HTML, 첨부파일...

맨 위로 이동 ↑

JavaMailSender

스프링부트로 이메일 발송 구현하기

📌 용어 한눈에 JavaMailSender: 스프링에서 이메일 전송 처리 인터페이스 SMTP: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Gmail, Naver 등 제공 application.yml: 스프링부트 설정 파일, SMTP 정보 관리 MimeMessage: HTML, 첨부파일...

맨 위로 이동 ↑

EntityManager

JPA 기초와 엔티티 매핑 정리

📌 용어 한눈에 JPA: 자바 객체와 DB 매핑 표준 API 엔티티: DB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 ORM: 객체와 관계형 DB 연결 기술 Hibernate: JPA 구현 ORM 프레임워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객체 @Enti...

맨 위로 이동 ↑

N+1

스프링부트 개발 흔한 실수와 해결책

📌 용어 한눈에 DI: 의존성 주입, 객체 의존 관계 자동 관리 JPA: 객체와 DB 매핑 API Hibernate: JPA 구현체, 객체-테이블 매핑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Transaction: DB 작업 논리적 단위 Entity...

맨 위로 이동 ↑

Query Method

스프링부트 JPA Query Methods 활용

📌 용어 한눈에 JPA Query Methods: 메서드 이름으로 쿼리 자동 생성 Spring Data JPA: JPA 간소화 스프링 모듈 Hibernate: JPA 구현체, 매핑 처리 EntityManager: 엔티티 생명주기 관리 Repository: 데이터...

맨 위로 이동 ↑

H2

H2 데이터베이스로 빠른 스프링부트 개발 환경 세팅

📌 용어 한눈에 H2: 경량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개발/테스트 특화 인메모리: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빠른 처리 JDBC: 자바와 DB 연결 표준 JPA: 객체와 DB 매핑 API Hibernate: JPA 구현체, 매핑 처리 EntityManager: 엔...

맨 위로 이동 ↑

Filters

맨 위로 이동 ↑

Exception Handling

맨 위로 이동 ↑

Login

맨 위로 이동 ↑

Authentication

맨 위로 이동 ↑

Board

맨 위로 이동 ↑

Windows

맨 위로 이동 ↑

Shortcut

맨 위로 이동 ↑

Upload

맨 위로 이동 ↑

Download

맨 위로 이동 ↑

CRUD

맨 위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