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가치
📌 용어 한눈에
- 유지보수: 배포 후 문제 수정, 기능 개선 작업
- 사용자 경험(UX): 소프트웨어 사용 중 느끼는 편의성과 만족도
- 피드백: 사용자가 전하는 불편함이나 개선 요청
-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구조,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 체계
- 충성 고객: 꾸준히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 유지보수가 왜 중요한가
완벽한 소프트웨어는 존재하지 않음
모든 요구사항을 처음부터 다 반영할 수도 없음
사용자는 각자 다른 환경과 기대를 가짐
그로 인해 예상치 못한 오류나 불편함이 생김
여기서 유지보수가 필요해짐
작은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면
사용자는 신뢰를 느끼고 더 오래 머무름
유지보수는 사용자와의 연결을 이어주는 핵심 열쇠
📌 아키텍처가 유지보수에 미치는 영향
유지보수의 효율성은 초기 아키텍처에 달려 있음
모듈화, 관심사 분리, 계층적 설계는
변경을 최소 범위로 제한해줌
반대로 엉킨 구조나 명확하지 않은 설계는
작은 수정도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끼침
결과적으로 오류 늘어나고, 시간 늘어나고, 비용 늘어남
스프링부트 개발자라면 application.yml
로 설정 분리하거나
패키지 구조를 명확히 나누는 습관이 큰 차이를 만듦
초보여도 아키텍처의 중요성을 미리 알아두면 나중에 빛을 봄
📌 개발자의 자세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마음 필요
사용자 피드백을 귀찮음이 아닌 성장의 기회로 봐야 함
개인 프로젝트든 팀 프로젝트든
유지보수는 피할 수 없는 과정
작은 프로젝트라도
명확한 구조, 직관적인 이름, 역할 분리를 고민하면
미래의 자신과 동료를 위한 큰 선물이 됨
📌 코드로 살펴보기
스프링부트에서 잘 설계된 구조는 유지보수를 쉽게 만듦
예: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역할 분리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GetMapping
public List<UserResponse> getUsers() {
return userService.findAllUsers();
}
}
이 코드는 요청 처리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
@RequestMapping
으로 경로 관리 간소화
변경 요청이 와도 서비스 레이어만 수정하면 됨
테스트도 간단해지고 유지보수 부담도 줄어듦
IntelliJ Ultimate라면 @Autowired
경고 감지, 코드 리팩토링 제안 같은 기능이 유지보수 효율 높여줌
✍ 결론
유지보수는 단순히 버그 잡는 작업이 아님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소프트웨어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아키텍처는 그 여정을 뒷받침하는 토대
완벽히 이해하지 못해도
깔끔한 구조, 가독성 있는 코드, 명확한 설계를 고민하는 습관이
좋은 개발자로 가는 길을 열어줌
댓글남기기